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군인계급표] 군대계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by 글쟁이 2016. 6. 10.


군인계급


얼마전에 태양의후예라는 드라마 때문에 군인에 대한 관심도가 요즘 많은데요.

오늘은 군인계급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병(兵)


우선 제일먼저 알아볼 계급은 병(兵) 입니다. 

일반적인 대한민국의 남자라면 위의 이등병에서 시작을 하는게 보편적이구요.

이들은 최대 병장까지 진급이 가능하며, 병장이 되면 전역을 하게됩니다. 

간혹 상병으로 전역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런 경우는 특이한 케이스가 되겠습니다.


물론 일병이나 상병때 직업군인을 하기위해 장교 : 소위, 부사관 : 하사 로 지원하여 직업군인의 길을 걷기도 합니다.





부사관




이 부사관 부터 직업군인이라고 칭합니다.

부사관의 시작은 하사에 부터 시작하며, 

요즘 취업난을 반영하듯 간혹 장교출신들이 부사관으로 재입대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러면 중사 계급장을 달아준다고 합니다. 

최근엔 하사계급으로 다시 시작한다고 하더군요.


부사관은 장교(준사관:준위) 를 지원하지 않는 이상 원사가 최고의 계급이며,

계급이 적어 진급기간이 매우 긴 부사관의 특성상 

최근 원사위에 계급(가칭: 현사?)을 신설한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는데 요즘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들의 역활은 군대에서 부대관리 등의 실무를 담당하는 실무자가 되겠습니다. 

부대관리라 하면 시설물, 차량정비 ,환경정비, 청소, 제초, 급양(식사) 등이 되겠습니다.

 



장교



소위계급부터 대장계급까지, 장교라고 칭하며 우선 위관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관급






보통 장교를 지원하게 되면 소위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육군사관학교, 학군사관(ROTC), 학사사관, 간부사관, 육군3사관학교 출신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들은 초급간부로써 병사, 부사관들과 가장 밀접하게 접해있는 계급입니다.


주로 소, 중위는 소대에서 소대장 직책을, 대위는 중대장 직책을 수행합니다.

또한 대대급에서 과장이나 참모역활을 하기도 합니다. 


초급장교 중 대부분 차지하는 학군사관(ROTC), 학사사관 출신들은 2~3년간 의무복무를 하고 거의 중위로 전역을 합니다.  

그러나 군에 뜻이 있다면 장기복무를 신청하여, 대위급 이상으로 진급을 하여 군생활을 하게 됩니다.



영관급






다음은 영관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들은 중견급에 속하는 계급으로써, 

소령은 대 급의 대장을, 중령은 대대장을, 대령은 연대장의 직책을 수행합니다.

또한 이들도 사단, 군단 또는 사령부에서 과장 및 참모역활을 하기도 합니다.


장교로 군생활을 하면서 중령까지만 진급을 해도 그 정년이 52세로써, 

군 내부에서는 어느정도 성공한 케이스라고 일컷어집니다. 




장관급



위 계급들은 장관급이라고 칭하는데요.


정말 올라가기 힘든 계급입니다.


말 그대로 하늘의 별따기가 여기서 나온 말이구요. 

위관급 마지막인 대령에서 장관급인 준장으로 진급을 하게되면 하나부터해서 100가지가 바뀐다고 할 만큼 대우가 달라진다 합니다.


이들은 주로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 등을 하며, 

대장은 말그대로 육군 최대 통수권자인 육군참모총장 등 군 최고의 수내부의 역활을 하겠습니다.



그렇게 오늘 군인계급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최종적으로 정리를 하면,



병사 : 이병, 일병, 상병, 병장

부사관 : 하사, 중사, 상사, 원사

장교 :  위관급 - (준위), 소위, 중위, 대위
   영관급 - 소령, 중령, 대령  
        장관급 - 준장, 소장, 준장, 대장




이 되겠습니다. 

다들 좋은주말 보내십시오~ 

댓글